코딩 왕초보 에디터의 코딩 도전기

코딩 왕초보 에디터의 코딩 도전기

안녕하세요! 저는 스파르타코딩클럽의 에디터 S입니다. 코딩이란 제게 있어 복잡하고 어려운 미지의 영역이었어요. 지난 달 열린 ‘AI와 100인의 용사들’ 해커톤에서 비전공자들이 단 하루 만에 <나만의 ChatGPT 서비스 만들기> 강의를 듣고 웹 서비스를 만들어냈다는 소식을 접하고, 저도 도전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코딩 왕초보인 제가 이 강의를 통해 웹사이트를 만들고 배포하면서 겪은 경험과 성취감을 공유해 드릴게요!

🤖 <나만의 ChatGPT 서비스 만들기>는 저처럼 코딩 왕초보도 손쉽게 따라할 수 있도록 설계된 강의입니다. 강의의 주요 목표는 ‘챗GPT API를 활용해 나만의 AI 챗봇 웹 서비스’를 만드는 것이예요. 만약 코딩에 호기심이 있지만 망설이고 있다면, 제 도전기가 여러분에게 작은 용기가 되길 바래요!

D-Day 개강이다!

개강의 설렘을 안고 첫 강의를 수강했습니다. 가장 먼저 할 일은 개발 환경을 설정하는 것이었어요. Visual Studio Code를 설치하고 Python 환경을 구축했습니다. 파이썬의 기본 문법부터 개발 환경 설정과 기본적인 코딩 툴 사용법에 대해 익히는 시간이였어요.

스파르타코딩클럽 블로그

미션1. API Key 발급받기

강의의 핵심인 챗GPT 기능을 연결하기 위해 OpenAI의 API Key를 발급받았습니다. 발급을 위해서는 소정의 결제료가 부과되는데요! 부과세를 포함해 11달러, 한화로 약 16,000원을 결제했습니다.

API는 내가 원하는 요청을 받아 처리해 주는 일종의 은행 창구와 같아요. 따라서 API 키 발급 비용은 서버 운영, 기술 지원, 개발 및 보안 인프라 유지 등의 비용을 충당하기 위해 필요합니다. API의 공정한 사용을 보장하고 서비스의 품질과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과정이니 참고해 주세요. API 키를 발급받은 후 간단한 API 요청을 보내고 응답을 받아오는 과정을 연습했습니다.

미션2. 기본 파이썬 코드 작성하기

VSCode에서 파이썬 문법을 사용하는 방법을 배웠어요. 텍스트와 이미지 코드를 작성하고 그 결과를 볼 수 있었습니다. 강의자료에서 제공한 코드를 복사하여 붙인 후 간단한 팩 설치만 했더니 아래와 같이 좌르르 알아서 완성되었습니다.

스파르타코딩클럽 블로그
“너에 대해서 설명해줘”라는 질문에 터미널에 자동으로 정보값이 출력되었어요!
스파르타코딩클럽 블로그

우와, 벌써 2주차 강의라니?!

코딩에 필요한 기본적인 환경을 구축하고 나니 한 시간밖에 지나지 않았더군요?🤔 곧바로 2주차 강의를 수강했습니다.

이번에는 파이썬을 사용해 간단하게 웹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Streamlit’ 프레임워크에 대해 익혔어요. 웹 애플리케이션의 기본 구조와 인터랙티브한 요소들을 추가하는 방법에 대해 배울 수 있었어요. 우리가 웹 화면에서 확인할 수 있는 제목, 설명글, 버튼 등 다양한 동작 기능이 어떻게 구현되는지 알 수 있었습니다.

import streamlit as st로 라이브러리 가져오기, st.write('Hello world!')로 첫 페이지 만들기를 연습해 보았습니다.

스파르타코딩클럽 블로그

Streamlit Docs로 셀프 코딩을 해보았습니다.

강의에서 알려준 ‘https://docs.streamlit.io/develop/api-reference’ 홈페이지에 접속해 기본 기능을 ‘복사+붙여넣기’하는 방식으로 간단한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해 보았습니다. 모든 코딩 문법을 직접 짤 필요없이 손쉽게 만들어볼 수 있었어요!

스파르타코딩클럽 블로그

Streamlit을 사용하여 파이썬 코드를 작성하면서 파이썬의 기본 문법과 구조를 익힐 수 있었어요. 코드를 작성하고 바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어 코드 작성과 수정에 흥미를 느낄 수 있었습니다. Streamlit을 사용하여 간단한 웹 페이지를 제작하면서 웹 개발의 기본 개념을 이해하고 개발하는 방법에 대해 조금이나마 익힐 수 있었어요.

저는 완전 문과형 인간인데요, 제가 작성한 코드가 실제로 동작하는 모습에 조금 짜릿(?)했답니다! 라이브러리의 문서를 참고하고 사용하는 방법을 배우면서 API 사용에 익숙해질 수 있었고, ‘아, 사람들이 이래서 코딩을 하는 건가?’하는 생각도 들었어요😎

🤖 여기까지 수강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단 두 시간! 코딩 작업에 필요한 기본적인 환경을 이해하고 설정하기만 하면 벌써 2주차까지 수강 완료입니다.

두근두근, 이젠 서비스 만들기 차례다!

직접 OpenAI API를 활용해서 코드에 적용해 볼 수 있었습니다. Streamlit과 OpenAI API를 연동해서 내가 원하는 서비스를 구현해 보는 시간을 가졌어요.

앞에서 배운 텍스트 기반 서비스, 이미지 기반 서비스를 바탕으로 복합 서비스 개발에 대한 이해를 넓힐 수 있었어요. 효율적인 프로젝트 구조 설계와 파일 관리 방법을 배울 수 있었고, .env 파일이나 st.secrets를 활용한 민감한 정보(예: API 키) 관리하는 방법을 익혔습니다.

직접 만든 코드를 Github에 업로드하고, Streamlit을 이용하여 웹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여기에서 서비스를 개발하면서 발생하는 여러 문제를 디버깅하면서 어떻게 코드를 배치할지, 이런 문제가 나왔을 때는 어떻게 처리하면 좋을지 고민할 수 있었어요!

사실 이 단계에서 좌절하고 무너질 뻔..했지만, 극복해냈는데요. 제 아이디어를 실제 서비스로 구현해보면서 개발의 전 과정을 경험하고 처음부터 끝까지 서비스를 만들어보면서 프로젝트의 전체 흐름을 이해할 수 있는 시간이었어요.

스파르타코딩클럽 블로그
코드를 다 작성했더니 이런 결과물이 보였어요~!

강의를 들으면서 저는 저만의 AI 챗봇 웹 서비스, <instafeed>라는 것을 만들었습니다. 이 서비스의 주요 기능은 사용자가 인스타그램 마케팅 콘텐츠를 작성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인데요! 에디터로 일하다 보니, 콘텐츠의 중요성을 날마다 실감하고 있어요. 어떻게 해야 사람들의 관심을 끌 수 있는 더 나은 콘텐츠를 작성할 수 있을까 고민하면서 만들어 봤습니다.

아래 내용은 제가 기획하면서 '이런 기능이 들어가 있으면 좋겠다'를 구상해서 적용해 본 것입니다.

-콘텐츠 작성: 인스타그램 마케팅 콘텐츠의 캡션, 게시 날짜, 이미지 입력하기. 마케팅 전략에 맞춘 콘텐츠를 효율적으로 준비할 수 있게 돕자!

-콘텐츠 목록: 작성된 콘텐츠를 목록으로 표시하여 사용자가 작성한 모든 콘텐츠를 한눈에 볼 수 있도록 하기. 작성된 콘텐츠를 쉽게 관리하고 수정하자!

-JSON 데이터 다운로드: 작성된 콘텐츠 데이터를 JSON 파일로 다운로드. 작성된 콘텐츠를 백업하거나 다른 시스템에 쉽게 통합할 수 있게 하자!

개발 과정에서 가장 어려웠던 부분은 '데이터 입력과 파일 처리'였어요. 처음에는 이미지 업로드 기능 구현에 어려움을 겪었지만, 강의에서 배운 내용을 바탕으로 파일 처리를 위한 라이브러리를 사용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JSON 파일로 데이터를 다운로드하는 기능을 구현하는 과정에서도 여러 번의 시도와 오류 수정 끝에 안정적인 기능을 구현할 수 있었습니다.

제가 만든 서비스 확인해 보실래요?👇🏻

https://instafeed-madebysuji.streamlit.app/

드디어 완강이다🎉

강의를 완강하면서 느낀 점을 솔직하게 말씀드릴게요. 처음 시작할 때는 정말 막막했습니다. 코딩에 대해 아는 것이 거의 없었고, 화면에 나오는 코드들이 전혀 이해되지 않았기 때문이죠. 하지만 강의가 차근차근 진행되면서, 저도 점점 자신감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스파르타코딩클럽 블로그

처음에는 코드 한 줄 따라가는 것도 두렵고 막막하기만 했어요. ‘import’가 무슨 뜻인지, ‘st.srite’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전혀 몰랐거든요. 하지만 강의를 따라가다 보니, 강사님의 설명이 쉽게 다가왔어요. 강의 중간중간에 있는 실습과 예제가 큰 도움이 되었어요. 강의 도중 해결되지 않는 부분이 있어 ‘학습 질문하기’에 문의를 남겼는데요!

아래 사진처럼 아주 친절하게 무엇이 문제인지, 어떻게 해결하면 되는지 설명해 주셔서 어려움 없이 해결할 수 있었습니다. ‘이걸 내가 할 수 있을까?’에서 ‘이걸 내가 해냈어!’라는 성취감을 느낄 수 있도록 많은 도움이 되었어요.

스파르타코딩클럽 블로그
튜터님의 말씀 대로 했더니, 바로 문제 해결 완료! 여러분도 적극적으로 질문해 보세요.

왜 이렇게 좋은 평만 있냐고요? 물론 어려움도 있었어요.

특히 API 키를 설정하고 사용하는 부분에서는 무려 3시간…!이나 소모했습니다. 여러 번 실수에 실수를 거듭했어요. API 키를 잘못 입력해서 작동하지 않을 때는 정말 답답했죠. 하지만 강의에서 제공하는 자료 덕분에 해결할 수 있었습니다. 이 과정에서 디버깅의 중요성을 깨달을 수 있었습니다. 마지막 단계에서 직접 서비스를 만들고 배포하는 것은 가장 큰 도전이었습니다.

특히 Streamlit과 OpenAI API를 연동하는 부분은 많은 시행착오가 필요했어요. 하지만 이 과정을 통해 웹 서비스 개발의 전체 흐름을 이해하게 되었습니다. 비록 처음에는 작은 실수들이 많았지만, 점차 코드가 완성되어 가는 것을 보면서 큰 보람을 느꼈습니다.

진짜 왕초보도 할 수 있다!

이 강의는 정말 코딩 왕초보도 충분히 따라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무엇보다 한국인의 속도에 맞게 주차별 강의 내용이 빠르고 쉽게 진행되니까 코딩에 발빠르게 도전하고 코딩 왕초보에게 적극 추천드려요!

완강하면 평생소장까지 가능해서, 배운 내용을 토대로 더 나은 서비스 개발까지 해볼 수 있어요.

스파르타코딩클럽의 <나만의 ChatGPT 서비스 만들기> 강의를 통해 저는 코딩에 대한 두려움을 극복하고, 실전에서 사용할 수 있는 기술들을 배울 수 있었습니다. 이제는 단순히 코딩을 배우는 것을 넘어서, 직접 웹 서비스를 만들어 배포할 수 있는 자신감을 얻게 되었습니다. 코딩에 관심이 있다면, 이 강의를 통해 새로운 도전해 보세요!

이 아티클은 에디터S가 자발적으로 <나만의 ChatGPT 서비스 만들기> 강의 수강 후 작성한 글입니다. 해당 강의의 생생한 후기가 궁금하신 분께 도움이 되고자 작성 하였으니,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글 | 팀스파르타 에디터 신수지


국비 지원 받고 IT업계에서 커리어 쌓는 방법

개발자, 디자이너, PM, 데이터 분석가 등 IT업계 직군 취업에 관심이 있으신가요?

온라인 부트캠프 중 취업률 1위, 스파르타 내일배움캠프에 지원해 보세요.

사전 지식이 없어도 맞춤형 커리큘럼을 통해 커리어를 주도적으로 설계할 수 있는 역량을 기를 수 있어요.

수료 후엔 인턴십 프로그램, 현직자 멘토의 1:1 이력서 코칭 등 취업 지원 패키지가 평생 지원됩니다.


- 해당 콘텐츠는 저작권법에 의해 보호받는 저작물로 스파르타코딩클럽에 저작권이 있습니다.
- 해당 콘텐츠는 사전 동의 없이 2차 가공 및 영리적인 이용을 금하고 있습니다.